파드 스테이터스 종류 (그라파나 alert용 잠깐 정리)

IT/EKS 2021. 11. 26. 12:52
반응형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workloads/pods/pod-lifecycle/

 

파드 라이프사이클

이 페이지에서는 파드의 라이프사이클을 설명한다. 파드는 정의된 라이프사이클을 따른다. Pending 단계에서 시작해서, 기본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OK로 시작하면 Running 단계를 통과하

kubernetes.io

 

조금 유의할 사항으로, 파드 상태와 파드 내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의 상태는 다르다는 것을 기억하자굳

sum(kube_pod_status_phase{namespace=~".*", phase="Pending"})
# 쿠버 파드 상태 페이즈. 펜딩이 지속되면, 워커노드를 못찾았거나 노드 리소스가 없거나.. 혹은 볼륨 미스매치.
# 파드의 펜딩 걸리는 사유는 대개 노드에 파드를 배치시키지 못할 때 발생한다 ㅇㅇ

sum(kube_pod_status_phase{namespace=~".*", phase!="Running", phase!="Pending"})
# 컨테이너 내부 상태중 Run / Pend가 아닌 애들은 전부 Fail로 취급하였음
# kubectl events로 어느정도 비벼볼 수 있는 메트릭 쿼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는 못찾았음
# 해당 부분은 딥 다이브 필요해보임 굳
반응형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