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IT/EKS에 해당되는 글 43건
- 2022.05.17 Nginx 업스트림 Retry 관련 깃허브 QnA
- 2022.03.17 매우 쉬운 차트 설치법
- 2022.03.11 ALB 인그레스 컨트롤러 SSL 인증서 적용 규칙 / 동작 원리
- 2022.03.08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 2022.03.08 쿠버벌레 이벤트 시간대 정렬해서 보기
- 2022.01.21 쿠버네티스 비정상 워커 노드 강제 축출/배제/제거 가이드
글
Nginx 업스트림 Retry 관련 깃허브 QnA
'IT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HPA 오토스케일링 공식 / 예시 핫링크 (0) | 2022.05.17 |
---|---|
쿠버네티스 SVC 레벨에서 밸런싱 안될떄 (0) | 2022.05.17 |
매우 쉬운 차트 설치법 (0) | 2022.03.17 |
ALB 인그레스 컨트롤러 SSL 인증서 적용 규칙 / 동작 원리 (0) | 2022.03.11 |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0) | 2022.03.08 |
글
매우 쉬운 차트 설치법
https://devocean.sk.com/blog/techBoardDetail.do?ID=163262
'IT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SVC 레벨에서 밸런싱 안될떄 (0) | 2022.05.17 |
---|---|
Nginx 업스트림 Retry 관련 깃허브 QnA (0) | 2022.05.17 |
ALB 인그레스 컨트롤러 SSL 인증서 적용 규칙 / 동작 원리 (0) | 2022.03.11 |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0) | 2022.03.08 |
쿠버벌레 이벤트 시간대 정렬해서 보기 (0) | 2022.03.08 |
글
ALB 인그레스 컨트롤러 SSL 인증서 적용 규칙 / 동작 원리
'IT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업스트림 Retry 관련 깃허브 QnA (0) | 2022.05.17 |
---|---|
매우 쉬운 차트 설치법 (0) | 2022.03.17 |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0) | 2022.03.08 |
쿠버벌레 이벤트 시간대 정렬해서 보기 (0) | 2022.03.08 |
쿠버네티스 비정상 워커 노드 강제 축출/배제/제거 가이드 (0) | 2022.01.21 |
글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https://github.com/kubernetes/ingress-nginx/issues/4168
nginx ingress 버그로 추정시켜줘야겠음 ㅇㅇ.. 정상 > 비정상 EN 서비스는 동적 설정 되었는데
비정상 > 정상 EN 서비스로는 동적 설정 안됨. 구 버전꺼를 계속 가짐
해결 방법 : Nginx WAS 파드를 모두 물갈이 하니 다 정상 동작했음
이거 어디선가 lua 밸런서 모듈이 내부 캐싱한다는건가? 자세히 코드 뜯기까진 귀찮...
'IT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우 쉬운 차트 설치법 (0) | 2022.03.17 |
---|---|
ALB 인그레스 컨트롤러 SSL 인증서 적용 규칙 / 동작 원리 (0) | 2022.03.11 |
쿠버벌레 이벤트 시간대 정렬해서 보기 (0) | 2022.03.08 |
쿠버네티스 비정상 워커 노드 강제 축출/배제/제거 가이드 (0) | 2022.01.21 |
쿠버네티스 nginx ingress 카나리 적용 (0) | 2022.01.06 |
글
쿠버벌레 이벤트 시간대 정렬해서 보기
k get events -n 네임스페이스 --sort-by='.metadata.creationTimestamp'
'IT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B 인그레스 컨트롤러 SSL 인증서 적용 규칙 / 동작 원리 (0) | 2022.03.11 |
---|---|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0) | 2022.03.08 |
쿠버네티스 비정상 워커 노드 강제 축출/배제/제거 가이드 (0) | 2022.01.21 |
쿠버네티스 nginx ingress 카나리 적용 (0) | 2022.01.06 |
AWS APIGW -> EKS Nginx Ingress (NLB) 포워딩 실패 (504 타임아웃) (0) | 2021.11.29 |
글
쿠버네티스 비정상 워커 노드 강제 축출/배제/제거 가이드
(1) k cordon 비정상노드명 : 노드 scheduling disable. 이 노드로 앞으로 파드가 들어가지 않게 처리
(2) k delete pod 파드명 -n 네임스페이스 --grade-period=0 -- force : 파드 강제 삭제처리. 노드에 들어간, 데몬을 포함한 모든 파드들을 삭제함. kube-system 시스템 요소까지 싹 다.
(3) kubectl drain 비정상노드명 --ignore-daemonsets --delete-local-data : 노드 드레인. 안의 내부 데이터는 이미 2번 과정에서 파드를 모두 종료했을 때 다 날아가게 되므로, 이를 무시하는 절차이다. PVC 볼륨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므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4) kubectl delete node 비정상노드명 : 노드를 삭제
(5) aws eks 콘솔 가서, 노드가 축출되었는지, 그리고 개수가 내가 원하는 개수와 맞는지 살펴본다.
> 일반적으로는 새 노드를 생성한다.
> 새 노드를 생성하지 않을경우, min / MAX / desire 중, min 을 desire와 동일하게 셋팅하여 이를 맞춘다.
노드 드레이닝 시, 로컬 데이터를 날리는건 pvc 볼륨을 삭제하는게 아닌것을 꼭 기억해야 한댜
이게 만약 인스턴스 볼륨에 뭔가 중요한걸 쌓고있는데, 저 옵션으로 드레인 시키면 데이터 날아가므로 주의하쟈
'IT > E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Ingress E.N 서비스 오류 후 동적 컨피그 불가 현상 버그 (0) | 2022.03.08 |
---|---|
쿠버벌레 이벤트 시간대 정렬해서 보기 (0) | 2022.03.08 |
쿠버네티스 nginx ingress 카나리 적용 (0) | 2022.01.06 |
AWS APIGW -> EKS Nginx Ingress (NLB) 포워딩 실패 (504 타임아웃) (0) | 2021.11.29 |
파드 스테이터스 종류 (그라파나 alert용 잠깐 정리)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