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양자컴퓨터

1. 양자 컴퓨터의 수식들을 날로 먹어보쟈

클라우드 개발자 앙몬드 2025. 2. 12. 15:25
반응형

(전 글에 있지만, 애저 official 내용을 기준으로, GPT O3_mini 에게 질문 및 답변에 대해서 정리하고 변환한 글임. 혹시 잘못된거 있으면 알려주셈.)

반응형

 
 

1. 32비트 컴퓨터, 64비트 컴퓨터. 어차피 전기 신호 들어가는 공간을 통해서 전기가 있음?없음? 으로 따지는게 0과 1임. 따라서, 클래식 컴퓨터는 한번 처리할 때, 0과 1의 상태 중 하나밖에 처리 못한다는 것임.

2. 양자역학. 맨날 들어보는 그 슈뢰딩거 고양이 단또. 이 박스 안에 고녕이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그래서 뭔소린지 아직도 모르겠지만)

3. 내 머리로 ㄹㅇ 쉽게.. 양자컴퓨터에서 양자를 굳이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동전을 니 손에서 튕길거임.
> 동전이 공중에서 겁나 돌아감. 지금은 이게 앞뒤 확정인 상태가 아님. 이게 양자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양자 상태임.
> 동전이 떨어져서 앞,뒤가 판별남. 이건 클래식 고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상태임. (위에 돌아가던 상태가 땅에 떨어져서 상태가 확정됐지? 즉 양자 붕괴. 양자 측정으로 보면 됨. 측정이란 단어를 기억하셈)

4. 저 상태들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 큐비트임. 따라서, 하나의 큐비트는 2개의 복소수로 표현함.
  a |0> + b |1>  . 대충 디랙 표기법임.

5. 복소수랑 쟤네 절대값의 제곱 합이 1이란 걸 꼭 기억하셈. 이거 나중에 다중 큐비트에서도 특성 똑같이 간다.
이건. 내가 챗붕이한테 순서를 좀 잘못내림. 우선 밑에 디랙 표기법과 브라켓 연산부터 보고와서 블로흐 스피어를 보셈.
나중에 하다마드 게이트랑 파울리XYZ 게이트 때 또 나올거임 ㅋㅋㅋ
벌써 지금부터 멘탈 날라가면 안돼
(놓치마 정신줄. 근데 이미 글 쓰는 와중에 나도 정신줄 놓칠 것 같음)

 

자. 솔직히 미적분학은 커녕 수2 조차 다 까먹었겠지? 내가 그럴줄 알고 챗붕이한테 벌써 시켜놓았다구?
디랙 표기법 예시로 쉽게 한번 더 가보쟈
복소수 행렬곱 내외적 예시는 너굴맨이 처리했으니 안심하라구

 

아 솔직히 내가 챗붕이랑 대화하느라 기운 다 뻈으니, 이 위에꺼는 알아서들 이해하셈.

 
 
그리고 미안한데, 저거 디랙 표기법이랑 수학 연산때문에 글이 겁나 길어졌음. 그래도 저거 이해못하면 이후 양자 컨트롤 자체에 문제가 생기니 꼭 외우고서라도 다음장 넘어가보쟈
 
 
 
 

반응형